뮤지컬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2차 멘토링 현장

일시: 2019년 9월 30일 월 오후 5시~6시 30분
장소: 대학로 타스카페
멘토: 조용신 연출가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는 현재 시점에서 인디밴드 Fecund Band의 리더 정약용이 조선시대 대표적인 실학자였던 다산 정약용의 일화를 들려주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두 시대의 연관성이 잘 느껴지지 않아 현재 대본에서 과거 정약용에 집중해서 다루는 구성으로 완전히 바꾸기로 했다. 그래서 이날 멘토링은 완성된 대본이 아닌 새로운 구성에 앞서 작가의 고민을 멘토와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송현희 작가는 역사적 사실을 다루다 보니 팩트에 얽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드라마 전개를 어렵게 한다고 토로했다. 예를 들면 실제 많은 드라마가 정조 사후에 일어나는데 시간상으로 중요한 일들이 벌어지는 시점엔 정조를 등장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멘토는 “17세기 이야기는 어차피 다 알 수 없고, 완벽한 재현은 불가능하고 불필요하다. 재현하기보다는 이 작품이 사극이구나 하는 느낌을 주는 정도의 작품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정약용이 시대를 초월해서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느낌이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약용이 현실의 문제를 극복하는 계기를 정조로 두고 있어 시간 차이가 나는 문제 역시 “너무 실제 시간에 얽매일 필요가 없이 시간의 재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런 면에서 음악 역시 현대적인 음악을 사용해도 무방할 것 같다. 실험적인 곡이 있었으면 좋겠고 뻔뻔하게 현대적인 요소를 넣으면 좋을 것 같다고도 했다.

 

송작가는 전체 컨셉을 현대로 치자면 작가와의 만남, 그런 느낌으로 제자들에게 자신의 책과 사상을 들려주는 방식으로 하면 어떨까 생각했다고 말했다. 멘토는 그런 방식도 나쁘지 않다며 대신 제자들이 특정 사건을 재현하면서 극중극에 들어갔다 빠지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새로운 구성에는 4인이 등장하는데 음악적인 요소 때문이라도 여배우가 한 명을 추가할 생각이다. 여배우에게 어떤 역할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실제 여배우가 할 수 있는 역할로 딸이 부각됐다. 그런데 문제는 다산이 아들에게 보낸 편지는 많이 남아있으나 딸에 대한 이야기가 별로 없다는 것이다. 작가는 양반이 아닌 중인들도 가르쳤고 사람을 사람으로 대하는 다산의 열린 태도에 특히 끌렸다며 이런 점을 생각하면 딸이라고 소홀히 여기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멘토는 여자임을 숨기고 제자로 들어간 인물을 설정하여 남장여제자를 딸과 연결시키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다산은 아내가 보내온 다홍치마를 잘라 아들들에게는 편지를 보내고 살아남은 외동딸에게는 그림을 그려 보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보아 딸에 대한 애틋함이 있었을 것이다. 게다가 딸이 시집갈 때 유배지에 있었기 때문에 그 애틋함은 더욱 컸을 것이다. 그런 마음을 남장여제자에게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란 얘기였다.

 

멘토는 사건을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정약용이 유배지에 오고 싶어 온 사람이 아니다. 복귀하려는 노력을 통해 사건을 만들어야 한다. 그의 감각과 지식으로 사건을 해결하는 에피소드 하나는 들어가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정약용은 천주교인으로 박해받고 험지로 유배당한 사람이다. 지금보다 더 다양한 사건을 제시할 것을 주문했다. 또 1인 다역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배우 4인이 풀로 가동하는 방식으로 철저히 계산해서 작품을 구성해도 재미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전으로